dearbeany
[Java] 자바 기초 02 | 연산자, 비교와 Boolean, 조건문, 논리 연산자 본문
연산자 - 형변환
int a = 10;
int b = 3;
float c = 10.0F;
float d = 3.0F;
System.out.println(a/b); // 3 정수/정수 -> 10/3
System.out.println(c/d); // 3.3333333 실수/실수 -> 10.0/3.0
// 자바는 보다 넓은 수를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됨
// 즉, int 정수형 보다 float인 실수형으로 통일
System.out.println(a/d); // 3.3333333 정수/실수 -> 10/3.0
단항연산자
int i = 3;
i++;
System.out.println(i); // 4 출력
++i;
System.out.println(i); // 5 출력
System.out.println(++i); // 6 출력
System.out.println(i++); // 6 출력
System.out.println(i); // 7 출력
Boolean
- 무수한 값을 가지는 다른 데이터 타입들과 다르게 값 2개(true, false)만을 가지는 데이터 타입
.equlas
- 문자열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메소드
String s1 = "Hello world";
String s2 = new String("Hello world");
System.out.println(s1 == s2); // false
System.out.println(s1.equals(s2)); // true
조건문 - switch
- break를 만나면 switch 문 실행이 즉시 중지
- 만약 break; 문이 없다면 모두 실행
System.out.println("switch(1)");
switch(1){
case 1:
System.out.println("one");
// break;
case 2:
System.out.println("two");
// break;
case 3:
System.out.println("three");
// break;
}
// switch(1)
// one
// two
// three
- 가장 마지막은 default로 끝난다. 즉 주어진 케이스가 없는 경우 default 문이 실행
논리연산자
- and, or, not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자릿수 출력하기 (0) | 2022.08.05 |
---|---|
[Java] 자바 기초 03 | 반복문, break, continue (0) | 2022.07.05 |
[Java] 자바 기초 01 | 숫자와 문자, 변수, 데이터 타입, 상수, 형변환 (0) | 2022.07.05 |
[Java] Java의 설치, 실행, 개발도구, 이클립스 (0) | 2022.07.05 |
[Java] nextInt() 사용 후 nextLine() 사용 시 문제점 (0) | 2022.05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