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arbeany
AWS(Amazon Web Services) 개념과 사용방법 | IP주소와 IPv4 본문
클라우드 : IT자원을 인터넷 연결을 통해 빌려쓴다
-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인프라를 관리
- 유연한 인프라
- 사용하는 만큼 비용을 내는 구조
- 필요한 인프라를 빠르게 구매(내가 물리적인 관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)
- 글로벌 인프라 이용
NAS(Network Attached Service) vs Cloud Drive 의 차이?
10TB를 사용하는데 무엇이 비쌀까?
- NAS의 경우 내가 직접 인프라를 관리하기 때문에 낭비되는 자원이 많을 수 있다.
- 반면 Cloud는 내가 쓰는 만큼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.
-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클라우드의 확장 시점은 얼추 비슷하다.
- 클라우드의 내부적인 동작은 물리적으로 구분된 자원을 빌려주는 게 아닌, 하나의 커다란 자원을 쪼개서 빌려주는 것(=가상화)이다.
AWS(Amazon Web Services)
- 컴퓨팅, 스토리지, DB와 같은 인프라 기술부터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, 데이터레이크 및 분석, 사물인터넷을 IT서비스로 제공
- AWS 사용방법(3)
① Management Console : 간편한 사용, GUI, 사용자지정 비밀번호로 로그인 가능
② AWS CLI : 명령어 형태로 제공
③ AWS SDK : 선호하는 개발 언어 or 플랫폼으로 AWS서비스에 액세스, 관리
AWS 기초 서비스
EC2(Elastic Compute Cloud) : 컴퓨팅 자원 자체를 빌려쓰는 것
S3(Simple Storage Service) : 파일을 저장
VPC(Virtual Private Cloud) : 나만의 클라우드 영역을 설정해야 하므로, VPC를 구성하는 것이 필수
네트워크 IP주소와 IPv4
IP주소 : 인터넷에서 서로 통신하기 위해 부여하는 고유한 주소
ping www.goolgle.com
- 구글의 IP가 142.250.206.228 인 것을 확인하였다.
IPv4
- 총 32비트로 구성 : 2^32 = 4,294,967,296개
- 약 6억 개는 예약돼있음
- 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인해 가용한 IP 주소가 거의 고갈
- 128비트를 사용하는 IPv6가 새로운 표준으로 제안
- But, End User와 연결돼있는 라우터들은 특별한 라우터(=기본 게이트웨이). 반면 다른 라우터들은 어디로 연결될 지만 찾아줌!
- 서브넷 마스크 : 내 식구인지 아닌지 확인해보기 위한 비트마스크 (서브넷 마스크와 AND 연산으로 같은 게 나오면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음. 즉, 같은 게이트웨이 안에 속해있는 하나의 네트워크 sub network 안에 함께 속해있음)
서브넷 마스크(255.255.255.0): 11111111 11111111 11111111 00000000
-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AND 연산하면? 70.12.125.110 (같은 값이 나옴)
- 기본 게이트웨이와 서브넷 마스크 AND 연산하면? 70.12.125.1 (같은 값이 나옴)